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검찰이 지난 22일 KT 사옥과 이석채 회장 자택 등을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하면서 이 회장이 궁지에 몰렸다. 겉으로는 이 회장의 배임혐의가 배경이다. 그러나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각은 드물다.

어쩌면 정권 교체 시기마다 KT 수장이 정치권 입김에 교체됐던 전례에 비춰 이번에도 '이석채 밀어내기'를 위해 압박의 수위를 높이는 것 형국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본격적인 검찰 수사가 이 회장 개인에 국한 되지 않고, 모든 상황이 KT의 달갑지 않은 부분적 역사라는 점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것 같다.
 
KT는 지난 2002년 공기업에서 민간 기업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되는 시련을 걲었다. KT 민영화 이후 3년 임기를 다 채운 CEO는 이용경 전 사장(2002년 8월~2005년 8월)이 유일하다.

이 전 사장의 바통을 넘겨받은 남중수 전 사장은 취임 3년이 채 안된 2007년 12월 주주총회를 열고 연임에 성공했다. 그러나 남 전 사장의 연임도 사연이 있었다는 설이 풍성했다.

통상 KT는 3월에 주총을 한다.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2월에) 취임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외압이 있을 것이란 소문이 파다했고, 그래서 주총을 서둘러 열고 연임한 것이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남 사장은 2008년 10월16일 검찰 수사가 시작된 이후 20일 만인 11월5일 물러났다.
 
이후 이석채 회장이 2009년 1월 KT 사장으로 취임해 두 달 후인 3월 회장에 올랐으며, 취임 3년 만인 지난해 3월 연임에 성공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가 들어선 지 8개월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 이 회장의 공식 임기는 2015년 3월까지다.
 
CEO 리스크가 재발하면서 KT도 위기에 처했다.. 국내에서는 이동통신 3사 경쟁 속에서 대규모 이동통신 가입자 이탈을 헤쳐 나갈 경쟁력을 잃었고, 해외에서는 르완다 롱텀에볼루션(LTE) 망 구축사업과 같은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도 제동이 걸렸다.

정치권에서 CEO를 이렇게 좌지우지할 거면 처음부터 민영화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게 KT직원들의 불만이다.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수장이 교체되고 이것이 CEO 리스크로 작용하면 자연히 KT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차라리 CEO 임기를 5년 단임제로 바꿔 정부 출범과 퇴임을 같이하는 게 낫지 않느냐는 자조적인 목소리가 높은 이유다. 적어도 정권 교체마다 CEO가 바뀌는 낭패는 피할 수 있다는 생각일 것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11-07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