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3일 부산 해운대에 토종고래 상괭이(Finless porpoise) 전문 병원이 문을 열었다. 상괭이의 구조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 메디컬 센터는 세계 첫 사례다.

부산아쿠아리움은 3일 ‘토종고래 상괭이 구조 치료기관’의 공식 오픈과 함께 관람객 중심으로 운영돼 오던 아쿠아리움 운영방침을 ▲해양생물의 번식과 구조 ▲해양생태계 보호활동으로 변경하는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리브랜딩 오픈 행사를 개최했다.

세계 첫 ‘토종고래 상괭이 병원’ 설립은 우리나라 남서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상괭이는 야생동물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및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다. 서식지 오염과 환경파괴, 포획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새만금과 거제, 여수 등지에서 다수의 상괭이 사체가 발견되는 등 보호대책이 시급한 상황에서 만들어 졌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은 2012년부터 상괭이 보호 캠페인을 시작해왔으며, 이번 리브랜딩 행사를 맞아 ‘상괭이 구조 치료 기관’을 공식적으로 오픈하게 됐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의 ‘상괭이 구조 치료 기관’은 지름 9m, 깊이 1.7m, 용량 120t 규모의 메디컬탱크 2개 시설을 비롯해 상괭이의 치료와 재활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바다에서 구조돼 이 곳으로 옮겨진 상괭이는 8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의 정기적인 엑스레이 검사와 뇌파 검사, 영양상태 점검 등을 비롯한 재활치료를 받으며 건강을 회복한다.

전담팀은 과거 성공적인 상괭이 구조, 치료, 방류 경험이 있는 아쿠아리스트 6명과 전문 수의사 1명, 어병관리사 1명 등 총 8명으로 구성됐다.

상괭이 전담팀을 이끌게 된 양준호 팀장은 “웃는 얼굴의 상괭이가 힘들고 지친 일상에 국민들에게 기쁨과 희망의 메신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치료와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은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서식지 외 보존기관’이자 ‘해양생물구조 치료 기관’으로 과거 경남 통영 앞바다 정치망에 갇힌 수컷 상괭이 2마리를 19개월간 치료와 재활을 거쳐 2013년 7월 자연 방류한 바 있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의 ‘상괭이 구조 치료 기관’은 한국의 ‘고래보호국’ 위상확보에도 긍정적인 부분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경우, 매년 남극해에서 850마리에 이르는 밍크고래 포경을 해 오다가 호주 정부의 제소로 올해 3월 국제사법재판소(ICJ)로부터 남극해 포경중지를 판결 받은바 있다. 이 같은 국제적인 분위기에 힘입어 이번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의 ‘상괭이 구조 치료 기관’ 오픈은 한국을 ‘고래보호국’으로 인식되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양 생태계의 신비로움과 보호 메시지 전달을 위해 부산아쿠아리움은 3일 ‘상괭이 구조 치료 시설’ 개관과 함께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의 리브랜딩을 알리는 오픈 세레모니를 개최했다.

지난 6개월간 내부 수리와 해양생물 친화적인 환경조성으로 재구성 작업을 마친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에는 가오리 해안, 해마 유치원, 샤크워크 등의 관람시설이 신설되었다. 또한 모든 관람객들에게 단순 관람을 벗어나 압인도장을 찍으며 환경보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이빙북을 제공한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김영필 대표이사는 “아쿠아리움은 더 이상 인간의 유희만을 위해 존재해서는 안되며, 해양생물이 사람과 공존하는 점을 인류에게 전달하는 해양생태 친화적으로 변신해야 한다.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은 앞으로 더욱 다양한 해양생물의 구조와 보호, 번식을 위한 전문 시스템의 확충을 통해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바다의 신비로움을 온전하게 전달하는 아쿠아리움의 새 전형을 만들어 가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상괭이는태평양 온난한 연해 해역의 담수 또는 해수역에 서식한다. 영어 이름(Finless porpoise) 그대로 등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주둥이가 없고, 둥근 앞 머리 부분이 입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목이 대단히 유연하다. 크기와 형태는 지역적인 차이가 보고되어 있다. 몸 색은 전체가 회색이지만, 나이가 많은 개체가 어린 개체에 비해 일반적으로 흰색을 띤 회색을 갖는다. 성체는 약 1.9m로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큰 편인데, 갓 태어난 새끼의 전체 길이는 70~80cm로 추정된다.

단독 또는 2마리가 대부분이며 많은 경우 12마리까지의 무리가 관찰되었고, 최대 50마리까지의 집단이 보고된 적도 있다. 번식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조사된 지역이 없다. 보고에 의하면 양자강에서는 2월~4월, 일본에서는 4~8월이 번식 시기이다. 상괭이의 수명은 통상 20~3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서식하는 해역의 어획그물에 혼획되는 사례가 많다.
상괭이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ㆍ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4-07-0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