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15년간 총 사업비 240억원을 투자하여 전국 50개 국가어항의 해양관측 및 정보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국가어항은 지구온난화현상에 따른 기후변화와 연안개발 등으로 항내매몰, 해안침식 및 수질악화 등이 심화되어 현재 국가어항 중 약 40%인 44개 어항이 항내매몰로 어선이용 지장은 물론 안전사고 우려 등으로 이용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항내 유지준설량도 2011년까지 과거 10년간 준설량보다 2020년까지 유지준설계획량이 약 2.8배에 달해 어항 유지관리비용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 및 동시 다발적인 연안개발 등의 복합적인 해양환경 변화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원인분석 및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전국 109개 국가어항 중 해양환경변화가 심각한 50개 어항에 대한 해양환경변화 조사 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

올해는 매몰이나 해안침식 등이 심각한 10개 국가어항(동해 오산항 외 4개항, 남해 다대포항 외 2개항, 서해 안마항 외 2개항)을 우선적으로 선정, 3년에 걸쳐 장기간 해양환경변화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항내매몰 등 저감하기 위한 합리적인 대책을 수립하여 어항의 이용성을 증대시킬 예정이다.

해양환경변화조사는 해양조사와 수질조사가 함께 진행되며, 각 항별 11개 항목에 대한 계절별 조사와 수치모형실험 등을 함께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조사 성과물은 장기모니터링 자료의 보존 및 이용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이는 어항정책 및 사업계획 수립 시 자료조사 비용 절감, 축적된 어항자료 활용을 통한 업무소요시간 단축, 준설계획 수립 시 효율성 극대화 등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해양환경변화 조사 및 분석 방법에 대한 매뉴얼을 지자체 등에 제공함으로써 조사 자료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어항개발 및 재해 발생 시 기초자료로 활용, 예산의 효율적인 활용은 물론이고 돌발적인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책 및 대응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4-07-18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