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BS금융그룹(회장 성세환) 산하 BS금융경영연구소는 24일 “글로벌 해운시장 전망과 동남권 조선업의 과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동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해운시장 회복은 2017년에 가서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씨티(Citi), 코스코(Cosco), 클락슨(Clarkson) 등 주요 글로벌 금융 및 해운관련 기관들은 회복시기를 대체로 2014~16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BS금융경영연구소는 이보다 1년여 정도 늦어질 것으로 보는 것이다.

해상물동량 대비 컨테이너선 선복량 과잉 수준은 36.7%(2013년 기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선복량이 2002~07년중 연평균 11.7% 증가하여 해상물동량 증가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늘어났지만 2008~13년 중에는 연평균 8.2% 증가하여 해상물동량 증가율 3.0%를 크게 상회함에 따라 선복량 과잉현상이 초래되었다.

향후 5년간(2014~18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연평균 9.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복량의 경우 2012년 이후 건조물량이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선박 해체량은 급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수년간 선복량 증가세는 미약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물동량 및 선복량 증가세를 감안할 때 선복량 과잉이 2017년에 가서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해운업계는 장기불황에 대응하여 기존의 해운운임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서 비용 절감을 통한 이익 창출 구조로 전환하고 있다. 즉 해운업은 에코십 및 대형선 위주의 해운 서비스 공급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조선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1년 40.3%(수주량 기준)로 1위를 차지하였으나 2014년 상반기에는 27.1%로 2000년대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2012년 이후 1위를 지키고 있는 중국은 금년 상반기 44.4%의 시장점유율로 한국과의 격차를 확대했다. 중국은 에코십 기술까지 한국과의 격차를 상당부분 줄이면서 수주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본다.

최근 해양플랜트에 자원을 집중한 국내 조선사들은 상선부문의 에코십 기술개발에 더욱 많은 자원을 투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운경기가 2017년부터 회복될 경우 2015년 또는 2016년부터 대형 에코십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에 대한 기술개발을 강화하여 경쟁국과의 기술 격차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BS금융경영연구소 조성제 소장은 “고연비·친환경 부문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기술 개발에 자원을 집중해 나가고 있는 자동차 완성체업체와 부품업체의 노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성장시대, 저운임시대임을 감안할 때 해운업계는 운송경비를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4-07-24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