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신문/김영찬 기자]
부산시, 경남·창원, BPA, 배후부지 입주업체와 공동 노력으로 신항 웅동지역을 포함한 신항 일원에 내부순환셔틀버스가 운행된다.
이번 ‘내부순환버스 운행’은 그동안 신항 근로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한 신항 일원, 특히 접근수단이 전무한 웅동지역 입주업체 근로자의 출·퇴근시간대 교통 불편해소를 위한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의 끈질긴 노력 끝에 이뤄졌다.
그간 부산항 신항에는 2011년 7월부터 BPA, 부산시, 부두 운영사, 배후단지 입주업체가 비용을 분담해 강서구청 및 하단에서 신항까지 기존 출·퇴근 셔틀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부두와 배후단지 확장으로 신항의 근로자가 계속 증가해 10,000명을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버스 등 대중교통 체계개선은 장기화될 전망이어서 신항 근로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부산시는 부산항만공사와 함께 경상남도, 창원시, 북컨 배후단지 및 웅동배후단지 입주업체와의 수차례에 걸친 협의를 통해 신항 일원을 순환하는 셔틀버스를 출·퇴근 시간에 맞춰 신규로 도입하는 성과를 이뤘다.
새로운 버스는 지난 12월 30일과 31일 양일간 시범운행을 거쳤으며,기존 대중교통 및 셔틀버스와 연계,15년 1월2일부터 17년12월(3년간)까지 한시적 운행으로 출퇴근 각3회(45인승2대)이며, 노선은 운행과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며 변경 가능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경남·창원시, 부산항만공사 그리고 배후부지(북컨, 웅동지역)입주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도입한 신항 순환셔틀버스가 신항근로자 특히, 웅동지역 근로자의 불편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업·단체와의 동반자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 부산항 발전과 함께 관계자분들의 복지향상 및 편의제고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세경로 (출근시)
①용원하나로마트(맞은편) → ②용원사거리 버스승강장 → ③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④신항홍보관(맞은편) → ⑤동방물류교차로 → ⑥현대코스코로지틱스교차로 →
⑦신항국제물류게이트 앞 → ⑧한진신항만로지스틱스 앞 → ⑨((주)GDC앞 사거리
→ ⑩코센코물류(주) 옆 삼거리 → ⑪팬스타신항국제물류센터 앞 사거리 →
⑫ DW국제물류센터(주) 옆 삼거리 → ⑬ 신항서문입구 버스승강장 →
⑭ PNC버스승강장 → ⑮ BNMT 버스승강장 ) → HPNT 버스승강장 →
BNCT 버스승강장 (퇴근시는 역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