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통도사 포교원 <김해바라밀선원 오종법사(五宗法師) 수행(修行) 100일 기도 입재(入齋)>
  • 기사등록 2016-01-15 18:49:39
기사수정

 

<11월 5일(목) 10시>통도사 포교원 김해바라밀선원에서는 <천일관음기도회향(千日觀音祈禱廻向)>으로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염송(念頌) 및 <수지(受持)>, <독경(讀經)>, <송경(誦經)>, <해설(解說)>, <서사(書寫)> <오종법사(五宗法師)> 수행(修行) <100일 기도(祈禱) 입재(入齋)>를 올렸다.

 

이날 <주지(住持) 수담 인해(仁海)스님>께서는 “불교(佛敎)의 <근본수행(根本修行)>은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자리이타(自利利他)>로, 불교(佛敎)의 완성(完成)은 <나눔의 회향(廻向)>이다.”라고 말씀하셨다.

<11월 12일(목)> 대한불교조계종 통도사포교원 김해바라밀선원 주지(住持) 수담 인해(仁海)스님께서는 <초하루법회 및 신중기도(神衆祈禱)>로 대학입시 수능기도를 오전 10시 30분에 올렸다.

이날 김해바라밀선원 주지(住持) 수담 인해(人海)스님께서는 법문(法門)을 통해 “우주만물(宇宙萬物)은 끊임없이 생(生)을 일으키기 때문에, 항상 생사(生死)와 인과(因果)가 끊임없이 윤회(輪廻)한다. 돌고 변(變)하여 잠시도 한 모양으로 머무르지 않는다<제행무상(諸行無常)> 태어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형태 있는 것은 반드시 소멸(消滅)한다. 만난 사람은 반드시 이별(離別)한다.<회자정리(會者定離)> 인고(忍苦)의 하나로 원수는 한번은 꼭 만나게 된다는<원증회고(怨憎會苦)> 등...... 이 모두가 인생무상(人生無常)이다.

 

마음은 끊임없이 바뀐다. <절대>라는 말을 함부로 쓰지 말라. 부처님만이 절대 진리(眞理)이다. 사부대중(四部大衆)은 무엇이든지 초연(超然)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공부를 해서 모든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불교의 핵심>은 <무상(無常)>과 <무아(無我)>이다. 이 법칙(法則)들이 온 몸으로 체화(體化)되었을 때, 갈등을 벗어나 <중생제도(衆生濟度)>를 통해 헌신(獻身)할 수 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 나름이다.<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진정한 불자(佛者)라면 마음공부를 해서 생활속에서 생로병사(生老病死)를 기꺼이 뛰어넘겠다는 각오(覺悟)가 필요하다. 아울러 <교리(敎理)에 출중(出衆)>하고 공덕(功德)과 복덕(福德)을 짓는 <신심(信心)에도 출중(出衆)해야 한다. 승속(僧俗)이 합일(合一)된 가운데 세상(世上)을 이끌어 가고, 세상(世上)과 더불어 나아갈 수 있을까(?)를 고민(苦悶)해야 한다.”라며 법(法)을 펼쳤다. </p>

 

<인차유피 무차무피(因此有彼 無此無彼)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차생피생 차멸피멸(此生彼生 此滅彼滅)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연기(緣起)>는 연기법칙(緣起法則)에 따라서 생겨난다. 연기법칙(緣起法則)에는 삼법인(三法印), 또는 사법인(四法印)에서 도출(導出)되는 모든 현상(現象)은 끊임없이 생멸변화(生滅變化)한다는 <1.제행무상(諸行無常)>, 존재(存在)하는 모든 것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모두 상호(相互)관련이 있다는 <2.제법무아(諸法無我)>, 지혜(智慧)에 의한 올바른 실천(實踐)에 의해서 욕망(慾望)을 없애는 <3.일체개고(一切開苦)> 관계변화(關係變化)의 법칙(法則)에 따라 이상(理想)으로서의 <4.열반적정(涅槃寂靜)>의 경지(境地)가 실현(實現)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신라(新羅)의 원측(圓測)스님은 <십이인연연기(十二因緣緣起)>를 <유전연기(流轉緣起)>와 <환멸연기(還滅緣起)>로 나누어 설명(說明)했다. 무명(無明)에서부터 노사(老死)로 나아가는 것을 <유전연기(流轉緣起)>, 반야지혜(般若智慧)로 무명(無明)이 다함에 따라 노사(老死)가 없어지는 과정을 <환멸연기(還滅緣起)>로 보았다. 즉 <진리(眞理)>를 깨닫지 못한 <무명(無明>)을 없애고, <열반(涅槃)>으로 되돌아오는 것이 <환멸(還滅)>이다.

 

<사성제(四聖諦)>는 고통의 원인을 멸(滅)하는 <도제(道諦)>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고집멸도(苦.集.滅.道)>의 <12인연연기(十二因緣緣起)> 즉 무명(無明). 행(行). 식(識). 명색(名色)의 <관념(觀念)> 및 육입(六入).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의 <6처6근(六處六根)> 그리고 생(生). 노사(老死)의 <삶> 이렇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탈(解脫)의 도(道)>는 <중도(中道)>이며 구체적으로 <팔정도(八正道)의 수행(修行)>을 말한다.

 

<팔정도(八正道)>는 <탐(貪).진(瞋).치(痴) 삼독(三毒)>을 없애기 위해 부처님께서 남기신 마지막 유훈(遺訓)의 핵심 <계정혜(戒精慧) 삼학(三學)의 가르침>에 의지하며, <여덟 겹의 바른 길>을 뜻하는 <범행구(梵行求)>로서 <불교수행(佛敎修行)의 요체(要諦)>다.

<1.정견(正見. 올바른 견해로 체득과 확립을 강조)>, <2.정사유(正思惟. 올바른 사고방식, 올바른 마음가짐으로 자기의 본분을 지킬 것)>, <3.정어(正語. 정다운 말로 바른언어적 행위를 실천)>, <4.정업(正業. 선행을 쌓는 올바른 신체적 행위)>, <5.정명(正命. 신(身).구(口). 의(意) 삼업(三業)을 바르게 해 규칙 바른생활)>, <6.정정진(正精進. 올바른 용기 올바른 노력)>, <7.정념(正念. 주위의 입장을 염두에 둔 세심하고 올바른 상념)>, <8.정정(正定. 정신적 안정으로 사물을 정확하게 보고 올바른 행동을 하는 올바른 선정(禪定)>을 말한다.

 

<중도(中道)>는 부처님께서 <‘인(因)도 공(空)하고, 연(緣)도 공(空)하고, 과(果)도 공(空)하다’>고 했다. 다만 <집착>하고 <선택>하는 마음만 버린다면 이것이 바로 <중도(中道)>이다. <만법현상(萬法現象)>을 갖고 설명(說明)할 때는 <연기(緣起)>라고 하겠지만, 모든 것이 <공(空)>함을 알았다면 버릴것도 취할것도 없으니 <중도(中道)>이다.

<중도(中道)>는 팔정도(八正道)의 <구체적인 실천(實踐)>에 의해서 지탱되는 <준엄한 도(道)>이며 나태, 번뇌, 노여움, 어리석음에 의해서 부지중 어떤 것에 집착하려고 하는 <‘어떠한 일변도 모두 버려야 한다’>는 것을 강조(强調)하고 있다. <체험(體驗)>에 의해 양극단(兩極端)을 떠난 <심신(心身)의 조화(調和)>를 이룬 <진실(眞實)한 깨달음의 도(道)>이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은 팔정도(八正道)에 없던 <보시(布施)>와 <인욕(忍辱)>을 강령(綱領)으로 더하고 있다. 이것은 이기적(利己的)이고 타산적(打算的)인 집단(集團)이 난무하는 대사회적(大社會的)인 사회(社會)속에서 홀로 <고고(孤高)>함을 지킨다는 것은 결코 불자(佛者)다운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自身)을 깨끗이 할 수 있는 방법(方法)은 오히려 <주변환경(周邊環境)>을 <정화(淨化)>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헌신(獻身)>과 <인내(忍耐)>가 필요하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은 <1.보시(布施)>, <2.지계(持戒)>, <3.인욕(忍辱>), <4.정진(精進)>, <5.선정(禪定>), <6.지혜(智慧)>의 여섯가지로 <보살(菩薩)의 행(行)>을 말한다. 결국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육바라밀(六波羅蜜)>은 보살(菩薩)이 <피안(彼岸)>에 이르기 위하여 수행(修行)하는 <자비행(慈悲行)>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반야지혜(般若智慧)>말한다. 이 때 법신(法身)으로서의 부처님이 늘 상주(常住)함을 전(傳)하고 있다.

 

오는 11월 15일 <일요가족법회>는 조실(祖室) 요산(樂山) 지안(志安)스님이 계시는 통도사(通度寺) 반야암(般若庵)에서 <야외힐링 법회>로 진행한다. <관세음보살 보문품(觀世音菩薩 普門品)> 발원문(發願文)에 이어 <중생(衆生)을 다 건지오리다(衆生無邊誓願度)/ 번뇌(煩惱)를 다 끊어오리다(煩惱無盡誓願斷)/ 법문(法門)을 다 배우오리다(法門無量誓願學)/ 불도(佛道)를 다 이루오리다(佛道無上誓願成> 총원(總願) 사홍서원(四弘誓願)을 끝으로 음력 11월 초하루 법회(法會)를 마쳤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1-15 18:49:3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배너_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기술보증기금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