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20년말까지 총사업비 231억원(국비 100, 시비 116, 민자 15)을 투입해 강서구 미음 R&D허브단지 내 10,275㎡의 부지에 ‘LNG기자재 시험인증 센터’를 건립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의 하나인「가스(LNG)연료선박 조선지자재 지원 센터」부산 유치를 확정하고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에 장착되는 각종 기자재의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 지원과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게 된다.
국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적합하고 고압(300bar이상)/극저온(-196℃)/상변화(액체→기체→액체)시험이 가능한 장비를 구축함으로써 가스(LNG 등) 관련 기자재 기업 공동 활용 시험인증지원 통합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는 LNG조선기자재 기술의 국산화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 오는 2025년 국내 LNG추진선박 건조 비중이 전 세계 25%, 기자재 업체 시장 점유율 30%대로 증가하게 되면 연간 18조원의 직접효과와 25,800여명의 고급인력 고용효과가 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해양환경보호에 대한 높은 인식으로 IMO(국제해사기구)의 선박해양오염 규제 강화와 LNG 사용 선박수요가 늘어나고 LNG가격 하락으로 LNG를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2025년까지 약 1천여척의 LNG 연료추진 선박 인도와 관련한 설비시장(기자재, 벙커링설비, 선박 등)규모는 연간 7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올해부터 선박배출가스 규제지역(ECA)내 질산화물을 2020년부터 항해중인 모든 선박에 황산화물 규제를 적용해 유럽연합, 미국, 일본, 중국 등 LNG 연료추진선박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형 조선사와 기자재 기업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며 기술에 대한 시험평가인증 시설이 부족해 시장진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민간 기업에서 개별적으로 평가인증 시설을 구축할 경우, 국내 가스관련 법적 제약과 투자 관점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지적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광역시는 사업 수행기관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함께 시험인증센터 건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부산시 관계자는 “LNG미니클러스터(LNG관련 산학연 네트워크), 관용선 LNG전환사업 및 LNG화물창(KC-1)합작법인 유치 등과 본 사업을 연계하여 부산이 중심이 되는 ‘LNG추진선박 산업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