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지역총생산(GRDP)은 2008년 전국비중이 5.47%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3년 4.92%까지 낮아졌으나 민선6기 첫해인 14년 4.96%로 6년 만에 반등한 바 있다. 그런데 이번 발표에서 2015년에도 78.4조원으로 전국비중이 5.01%로 증가되어 2년 연속 전국비중이 높아진 것.
2015년 경제성장률도 3.1%로 전국 2.8%보다 0.3%p높게 나타났다. 경제성장률 역시 13년에는 전국 2.8%보다 1.0%p 낮은 1.8%에 불과하였으나 민선6기에 들어선 14년에 1.5%p가 증가된 3.3%로 도약하여 전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올라섰다가 이번에는 전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총생산과 경제성장률이 경제의 종합 지표임을 감안할 때 부산경제의 의미 있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지역총소득은 88.5조원으로 전년대비 3.7조원 증가되어 전국 4위를 유지하였으며 지역총생산보다는 10.1조원이 더 높다.
지역총소득은 지역총생산에서 지역외로 부터의 유출입 소득을 가감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지역총생산보다 지역총소득이 높다는 것은 부산이 외부로부터 소득이 유입되는 도시임을 의미한다.
이밖에 1인당 개인소득은 1,720만원으로 09년 1,283만원 6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돼 12년 이후 3위(울산->서울->부산)권을 유지해 오고 있다. 1인당 민간소비 역시 1,535만원으로 09년 1,173만원 5위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12년 이후 3위권을 유지했다
부산은 그동안 높은 고령화와 지역거점 효과에 의한 높은 학생비율 등으로 고용률이 낮아 경제적 이미지가 좋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고용률은 여러 가지 경제지표의 단편적 측면만을 반영한 것임에 반해 경제성장률과 소득, 소비 등은 종합적인 해당지역의 경제상황과 소득과 소비로 이어지는 삶의 질적 측면에서 볼 때 보다 유의미한 경제지표로 볼 수 있다. 그런한 점에서 볼 때 이번 통계청의 발표는 한마디로 그간 부산의 경제상황이 그리 나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민선6기의 경제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내년에는 조선ㆍ해운 산업의 본격적인 구조조정 등으로 서민경제에 더욱더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경제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