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병수 일자리시장의 일자리 실적은? - 전체 고용률 꾸준히 증가돼 작년 7대도시 순위 1단계 도약
  • 기사등록 2017-02-08 09:59:26
기사수정

 

민선6기 출범때부터 서병수 부산시장의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었다.

 

부산시는 일자리경제본부를 신설, 일자리 정책조정회의와 규제개혁을 통한 기업친화정책, 글로벌 기업유치 정책 등으로 S&T모티브, 현대글로벌서비스, MS사 데이터센터 등의 기업을 유치하는 등 좋은 일자리 20만개 창출을 위해 시정을 집중해 왔다.

 

그렇다면 서시장의 일자리 창출 실적은 어떻게 될까?

 

우선 고용의 질적 개선과 청년일자리 측면에서는 합격점이라는 평가다. 대졸이상 취업자수를 보면 2013년에는 653천명이던 것이 매년 증가돼  지난해에는  757,000명으로 13년대비 15.9%, 10만 4천명이 증가됐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등 7대도시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실제로 대졸이상 고학력자의 일자리가 그만큼 늘었다는 것으로 고용의 질적 개선효과로 볼 수 있다.

 

또한 2013년 임금근로자중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57.2%이던 것이 매년 증가되어 지난해에는 62.2%까지 올랐다. 이 역시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 개선된 것이라는 것.

 

전국평균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나 전국 평균과의 격차가 꾸준히 감소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청년일자리는 2013년 24만 3천명이던 것이 매년 증가돼 지난해에는 25만 4천명 수준으로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청년고용률도 매년 증가돼 서 시장 출범 이전인 2013년과 비교해 3.7%p올랐다.

 

같은 기간 부산의 청년인구수는 2013년 69만 7천명이었으나 매년 1만 명 내외가 감소하여 2016년에는 64만 6천명 수준으로 떨어져 5만 1천명이 감소한 것을 고려할 때 취업자수 증가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산의 전체고용률*은 높은 고령화와 높은 학생비율 등으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낮은 모습이었으나 전체 고용률 측면에서도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부산의 고용률은 2011년도에는 60.5%로 7대도시중 최하위였다. 그러나 2012년 6위로 한단계 도약 후 2013년 61.6%, 2014년 62.5%, 2015년62.6%, 2016년 62.7%로 매년 꾸준히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7대도시 순위에서도 지난해 6위에서 5위로 한단계 도약하여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지난해 글로벌 경기불황과 조선·해운 등 부산지역 주력산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대규모 실업사태 속에서도 이룬 성과란 측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이와 관련해 서병수 부산시장은 “올해 청년일자리 3만2천여 개를 목표로 하는 등 청년일자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서 “부산의 고용여건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이 분명한 사실인 만큼 앞으로도 좋은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2-08 09:59:2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배너_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기술보증기금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