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 지속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 대안 - ‘지역경제 활성화를 로컬푸드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연구 통해 밝혀
  • 기사등록 2017-03-21 13:56:03
기사수정
인터넷을 이용해 로컬푸드를 판매하는 쇼핑몰 (사진출처 = h쇼핑몰 홈페이지)

로컬푸드가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농업·농촌의 지속성이 지역의 존속과 직결되는 지자체나 생산자단체 입장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유기적 관계 회복, 지역 정체성 살리기의 방안으로 로컬푸드를 활용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정은미 연구위원 등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연구에서 로컬푸드가 중소농, 고령농에게 농업인으로서 자신감 증대, 농업·농촌 활력 증진으로 지역 유통구조를 재구축하고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컬푸드 직매장 61개소의 운영실태 및 생산자·소비자 조사 결과, 직매장의 80% 이상은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출하 생산자는 소농 50%, 중농 35%, 대농 15%, 이용 소비자는 지역주민 60%, 인근 지역 소비자 30%, 관광객 10%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는 직접 가격을 결정하고 소량·비규격 농산물도 출하할 수 있으므로 출하 상품을 탐색하는 데 관심이 늘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역에서 소비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는 신선한 상품, 생산자에 대한 신뢰 때문에 로컬푸드를 이용하며, 로컬푸드 이용 후 식품구매가 늘었다는 응답이 39.5%이다.

보고서에서는 로컬푸드 직매장이 지역경제에 가져온 직접적인 효과에 대해, 대도시 인근 직매장은 연간 10억 3천만 원, 중소도시 인근 직매장은 7억 4천만 원, 농촌지역 직매장은 4억 7천만 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는 가까운 로컬푸드로 출하하면서 경비 절감, 소량이나 비규격품 판매도 가능해지면서 상품화율이 높아져 발생하는 소득 증가와 생산자의 지역 내 소비지출 증가, 로컬푸드 일자리 창출이 지역경제 선순환에 기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밖에도 로컬푸드는, 생산자가 농업인으로서 자존감을 회복하고 소비자가 지역농업을 이해하며, 지자체는 농업과 식품으로 이분화된 먹거리 정책에 연계성을 높이는 등 지역민 교류의 장으로서 지역농업에 역동성과 유연성, 지속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은미 연구위원은 “로컬푸드 추진은 사업 지속성을 높이는 관계형성과 소통이 중요하고, 로컬푸드 상품에 지역성이 발휘되도록 지자체 단위에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로컬푸드는 생산-가공-유통-판매-소비가 연쇄적으로 연결된 지역농업의 결정체이므로 지역개발 사업과 연계하여, 생산자의 조직화와 실무역량 강화, 소규모 농산가공 활성화를 통해 지역농업 재편, 나아가 지역 먹거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3-21 13:56:0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