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구인등록 기업 54% 채용공고 시 연봉공개 안해 - 비공개 기업연봉 실제적으로 공개기업 보다 적게 나타나-
  • 기사등록 2009-01-29 00:00:00
기사수정
채용공고를 등록하는 기업체 중 절반 이상이 자사 연봉을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기업 인사담당자 497명을 대상으로 1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7%가 채용공고 등록 시 자사 연봉수준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가장 큰 이유는 ‘연봉은 개인역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51.7%)이라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으며, ‘낮은 연봉 때문에 지원율이 떨어질 것 같아서’라는 대답도 25.5%나 됐다. 이어 ‘회사방침이 비공개이기 때문’(14.6%), ‘높은 연봉만 보고 지원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4.1%), ‘연봉이 동종업계에 알려지는 것이 싫어서’(3.0%) 순으로 대답했다.

개인역량에 따라 연봉이 결정되는 만큼, 기업에서는 주로 ‘최종합격 후 연봉계약 시’(38.6%) 연봉을 공개하고 있었으며, ‘최종면접 시’(30.3%)나 ‘1차 면접 시’(29.2%)에 밝힌다는 대답도 있었다.

그렇다면 이들 기업의 연봉수준은 실제 어느 정도일까?

자사 연봉수준을 공개하지 않는 기업의 대졸신입 초봉은 2,198만원으로, 공개하는 기업(2,250만원)보다 52만원 정도 적었다.

한편, 구직자 9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채용공고를 볼 때 가장 궁금한 항목(복수응답)으로 79.7%가 ‘연봉수준’을 꼽았다. 이들 구직자 대다수(89.9%)는 입사지원 할 기업을 선택하는데 연봉수준이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궁금한 항목은 ‘고용형태’(66.2%), ‘복리후생’(52.3%), ‘출퇴근시간’(28.0%), 모집인원’(15.6%), ‘매출규모’(15.6%), ‘임직원수’(9.4%) 등이었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구직자들은 높은 연봉을 제시하는 기업에 입사하기를 원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구직자의 역량을 우선 평가한 뒤 그에 합당한 연봉을 책정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괴리가 발생하기 마련”이라며 “이를 잘 절충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종의 연봉수준을 미리 알아두고 이에 맞춰 자신의 능력을 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1-29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