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태양력과 풍력, 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총 40조원을 투자해 이 분야에서 세계 5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는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김황식 국무총리와 관계부처 장관, 중소기업 대표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9차 녹색성장보고대회’를 열고 이같이 보고했다.

정부는 우선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40조원은 정부(7조원), 민간(33조원)이 합동으로 투자하며 태양광과 풍력은 제2의 반도체산업과 조선산업으로 각각 육성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정부는 차세대 태양전지와 해상용 대형풍력 등 ‘10대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1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태양광 장비와 풍력 부품 등 8대 소재ㆍ장비 개발과 국산화에 1조원을 지원하는 등 연구개발(R&D) 분야에 3조원을 지원해 기술 인프라를 구축한다. 아울러 자금난 해소를 위해 대기업과 발전사, 금융권이 공동으로 1,000억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문 상생보증펀드를 조성해 유망 중소ㆍ중견기업에 최대 1조6,000억원의 대출을 보증하기로 했다.

물 분야에서는 IT 기술에 기반을 둔 지능형 상수도 기술을 비롯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1조5,530억원을 투입하고, ‘먹는 물 산업단지’ 구축 및 물 재이용업 신설을 통해 친환경 대체용수 산업을 육성하는 데 1조6,800억원을 투자한다.

이상 기후에 따른 대규모 홍수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물 저장 능력을 16억t으로 늘리고 도시침수 방지시스템 강화와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병행한다. 가뭄에는 4대강 사업에 따른 수자원 확보와 대체수원 개발을 통해 대처할 계획이다. 또 아제르바이잔과 몽골, 필리핀 3개 국가를 대상으로 상하수도 시설 건설과 생태하천 및 인공 연못 조성, 수자원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비용 780억원을 지원하는 ‘물랜드마크사업’을 2015년까지 추진한다.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대기업의 기술과 자금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일부 대기업의 실적으로 인정하는 ‘대ㆍ중소기업 크레디트’ 제도를 도입한다.
이밖에 에너지절감 전문업체(ESCO)에 대한 융자자금 가운데 3,000억원을 중소기업 전용으로 운영하고, 우대 금리 적용과 조업 중단 시 긴급운영자금 지원과 같은 혜택을 줄 방침이다.

녹색성장위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가치가 크게 높아진 신재생에너지와 물을 성장동력화하고 미래 녹색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가전략을 마련하게 됐다”면서 “온실가스와 에너지 목표관리제의 본격 시행에 맞춰 대ㆍ중소기업간 상생협력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0-10-1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