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의 최종 후보지로 뽑혔다. 산업부는 11개 시도의 25개 특구를 접수해 부산, 울산, 경북, 경기 등 7곳을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으며, 6월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규제 특례가 적용돼 에너지 신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시는 강서구 일대 49.9㎢ 부지에 신산업 활성화형 분산특구를 조성하고, 대규모 공유형 ESS 팜을 만들 계획이다.
ESS 팜은 초기 투자 비용과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지에 대규모 ESS를 구축하고, 가상 상계 거래로 전력을 거래하는 신사업 모델이다. LFP 배터리를 사용해 2027년까지 250MWh, 2030년까지 500MWh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전력 공급 대상 업체의 AI 기반 수요 패턴 분석을 통해 실시간 수요에 대응하고, 항만 육상 전원 공급 설비(AMP) 등 대규모 전력 수요 발생 시 저장된 전기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연간 최대 200억 원의 전기 요금 절감과 전력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시는 ESS 활용 UPS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센터와 첨단 기업에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를 계획 중이다. 또한 세계적 ESS 시장 성장에 맞춰 대규모 ESS 보급 확대로 산업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에너지 신산업 실증 및 확산 기반을 마련하게 돼 기쁘다"라며 "규제로 추진되지 못한 에너지 혁신 모델을 구현해 수요 기업에 혜택을 주고, 부산을 글로벌 에너지 혁신 선도 도시로 성장시키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