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가 도시철도 화재 사고에 대비한 대응 체계 강화에 나섰다. 최근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공사는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시행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공사는 전동차 내장재를 난연·불연 자재로 교체하는 작업을 2006년까지 완료했다. 또한, 역사 내 주요 소방설비인 스프링클러와 유도등을 지속적으로 개량·설치하고 정기 점검을 병행하고 있다.
현재 도시철도 전 노선(1~4호선) 열차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며, 1호선과 4호선은 종합관제소에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하다. 공사는 2026년까지 2·3호선에도 실시간 영상 연동 시스템을 확대 적용해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한 관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고심도 역사에는 구조용 손수건을 비치해 승객들이 유사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부산소방재난본부와 협력해 6월 중 화재 대피 합동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기관사·관제사·역무원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연계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2호선 민락~센텀시티 구간과 3호선 만덕~미남역 구간에서는 열차 내 화재 상황을 가정한 합동훈련을 실시해 현장 대응 역량을 점검한다.
이와 함께 공사는 승객의 안전 행동요령을 홍보하고, 외부 전문기관의 화재안전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진단 결과에 따른 개선 사항은 순차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화재 대응은 설비만큼이나 실천이 중요하다"라며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높여 인명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대책은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공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