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시공사가 지난 25일 '스마트 BOOK모닝' 제30회 모임을 열어 도시 혁신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강연에는 '콤팩트 네트워크 - 위기의 도시를 살리다'의 저자 심재국 박사가 초청되어 '도시 위기의 해법: 압축과 연계, 그리고 혁신'을 주제로 강연했다.
심 박사는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의 '세계는 뾰족하다' 이론을 소개하며, 창의적 인재와 기업이 도시에 집중되면서 도시가 더욱 뾰족하게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시계획이 이러한 흐름에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초거대도시인 메가리전의 증가에 주목하며, 대한민국이 경부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메가리전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트로이트의 쇠퇴와 뉴욕의 부활 사례를 비교하며, 도시가 지속 가능한 생명주기를 갖도록 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심 박사는 압축도시 개발, 도시기능 융복합, 기반시설 지하화 및 직선화, 압축과 연계, 글로벌 광역경제권 구축, 해양도시 전략 등을 앞으로의 도시계획 트렌드로 제시했다. 특히 부산의 혁신을 위해 북항을 중심으로 한 초역세권 개발과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도심 기능 강화, 청년 친화적 환경 조성, 앵커기업 유치를 통한 산업도시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창호 부산도시공사 사장은 "이번 강연은 부산의 문제를 고민하는 임직원들에게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전 임직원과 함께 고민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