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홍철훈(해양물리학·어장학 전공) 2025년은 유난히도 장마가 빨리 끝났다. 기상이변이었다. 보통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계속되어 평균 30~35일 지속한다. 올해는 제주도가 7월 2일, 남부지방은 7월 6일, 중부 지방은 7월 11일에 끝났다고 한다. 이렇게 장마가 짧았던 이유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 시기가 평년보다 빨랐던 탓으로 보도되었다. 도대체 장마가 이 기단(氣團)과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여름철 우리나라 주변에는, 동북 방향 오호츠크해 주변에 형성되는 서늘한 ‘북쪽기단’(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남동쪽 북태평양에 형성되는 따듯한 ‘남쪽기단’(북태평양 고기압)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사실, 장마는 이 두 녀석이 만나 서로 힘겨루는(?) 통에 생긴다. 그 전장(戰場)이 우리나라 주변인 탓에 남북방향으로 서로 밀고 밀리는 ‘힘겨루기’로 흔히 동서 방향으로 전선(前線)을 형성한다. 이게 ‘장마전선’이다. 이 전선을 중심으로 ‘따듯하고 습한 공기’인 ‘남쪽기단’이 ‘북쪽기단’ 위로 올라가 구름을 만들고 비를 뿌려댄다. ‘힘겨루기’가 비슷하면 장마가 길어지고 ‘물난리’가 생긴다. 장마가 끝나는 건 ‘남쪽기단’이 ‘북쪽기단’을 밀어내 ‘장마전선’을 북으로 확장했을 때다. 그러니까 올해처럼 빨리 끝난 건 ‘남쪽기단’이 힘이 세 ‘북쪽기단’을 일찍이 북쪽으로 밀어낸 탓인 셈이다. 


그런데 올해는 평년 양상과 다르다는 것이다. 7월 초순에, “장마가 끝났다.”라고 보도가 나왔다가 중순에 들어 “장마가 아직 안 끝났다.”라는 보도가 다시 나왔다. 충남․서해안을 중심으로 7월 중순에 많은 비가 내리고 인명과 재산 피해가 속출하면서다. 호남지방도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시민들은 일기예보에 크게 헷갈렸다. 도대체 왜 이렇게 평년과 다른 장마가 된 것인가? 다소 난해한 부분도 있지만, 크게 2가지 원인으로 알려졌다. 우선은, 기온이 상승하면 수증기량이 증가하는데(1℃ 상승 시 수증기량이 약 7% 증가) 올해는 한반도 주변 기온이 급상승, 수증기가 돌연 증가하여 강한 비를 뿌렸다는 것이다. 둘째는 ‘다상(多相)장마(multi-phase Monsoon)’의 양상, 즉 비가 잠깐 왔다가 맑았다간 다시 비가 오는 양상이다. 보통 때 장마와 달리 흐름이 단속적이고 불명한 상태에서 발생해 북상․남하를 반복하면서 비의 세기와 오는 지역이 불규칙해졌다는 것이다. 향후 ‘장마전선’에 대한 예측이 난조에 빠질까 우려된다. 


차제에, 해마다 봄, 가을철 흔히 나타나 한반도 주변을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면서 비를 뿌리고 때때로 악천후를 동반하는 ‘이동성 저기압’도 알아보자. ‘장마전선’과는 그 발생원인이 다르다. 주로 한반도 서쪽에 있는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저기압이 분리돼 발생하는데,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로 쉽게 유입된다. ‘장마전선’처럼 그 중심이 정체(停滯)하지 않고 ‘계속 이동’하는 게 특징인데 날씨 변화는 커도 규모는 작다. 


장마나 이동성 저기압이나 모두 ‘전선(前線)’이다. 성질 다른 기단(氣團)이 맞붙어 발생한다. 그런데 바다에도 생긴다는 게 재미있다. 예컨대, 동해 북쪽에 있는 ‘극전선(極前線)’이 그렇다. ‘극전선’은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로 흘러 들어간 따듯한 ‘쓰시마난류(對馬暖流)’가 북쪽으로 올라가 약 북위 40도 부근에서 찬 해류와 만나 경계를 이룬 곳이다. 흥미로운 건, 어민들에겐 아주 중요하다는 점이다. 난수어(暖水魚)인 꽁치나 오징어가 ‘쓰시마난류’를 따라 북상해 대구나 명태 같은 북쪽 냉수어(冷水魚)와 모여 좋은 어장을 형성해서다. 울릉도 ‘오징어어장’이 그 대표적일 것이다. 동해만이 아니다. 전 세계 좋은 어장들이란 이러한 ‘전선’ 역에서 많이 형성된다. 대서양 해역인 캐나다 뉴펀들랜드섬 주변에서 형성되는 세계적인 ‘대구 어장’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장마’는 힘겨우나 ‘극전선’은 고맙다.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명예교수 

홍철훈교수(해양물리학·어장학 전공)

hongch0692@gmail.com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24 17:31:3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부산환경공단
BNK경남은행 리뉴얼
한국전력공사_4월_변전소나들이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025년도 부산 스마트공장(기초) 구축 …
부산시설공단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