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바다는 살아있는 생명체다. 한반도 주변엔 어떤 해류가 있나?
  • 기사등록 2025-08-07 12:20:32
  • 기사수정 2025-08-07 12:24:49
기사수정

홍철훈 교수
(해양물리학·어장학 전공) 

일찍이 해류를 ‘바다의 강물’이라 했는데 한반도 주변에 해류가 있다면 ‘강물처럼’ 한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다. 해류가 중요한 까닭은 이들이 엄청난 양의 해수를 운반하면서 거기에 따라오는 경제적 ‘수산자원’과 ‘한반도 기후’에 직간접으로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바다를 ‘경제 공간’으로 활용하는데 ‘해류’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인 정보일 것이다. 


근년에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한반도 주변의 해류모식도를 제공하였다(그림 1). 해류를 이해하는 데 좋은 정보가 된다. 먼저, 저위도에서 북상하던 쿠로시오로부터 동중국해 근해에서 갈려 큐슈 서방을 지나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로 흘러 들어가는 지류(枝流)가 있다. ‘쓰시마난류(對馬暖流)’다. 흔히 ‘대마난류’라고도 한다. 쿠로시오의 지류이므로 따듯하긴 마찬가지다. 보통 이 녀석은 대한해협을 지나면 크게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한국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소위 ‘동한난류(東韓暖流)’와 일본 연안을 따라 북동쪽으로 흘러가는 ‘일본 연안류’다. 


‘동한난류’는 유속이 빠르고(평균 1.0 노트) 북위 약 40도까지 북상하여 동서로 극전선(極前線)을 만들면서 찬 바다 동해의 표층 해역을 따뜻한 물로 채워준다. 따라서 동해에서 가장 넓은 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라 할 수 있다. ‘일본 연안류’와 함께 사시사철 항류(恒流) (강물 같은 해류)로서 존재하는 게 특징일 것이다. 때때로 이 두 해류 사이에 한때(주로 가을)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진 해류(점선)도 있다. 이 해류는 항류라 할 수 없으므로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동해의 한류(寒流)로서는, 북쪽 러시아 연해주를 따라 남동쪽으로 흐르는 ‘리만한류’가 있고 이 해류에 잇따라 ‘북한한류’가 있다. 이들의 존재는 확인되었어도 항류라 하기는 어렵다. 다만, ‘북한한류’는 여름철에 놀랍게도 대한해협 저층까지 때때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립해양조사원 제공

서해로 가보면, 사실상 항류로 존재하는 해류는 관측되지 않는다. 겨울철에 쓰시마난류의 지류로서 ‘황해난류’가 때때로 관측되고, 북동ㆍ북서 계절풍이 강한 때에 중국과 한국 연안을 따라 남향하는 ‘연안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해류는 아니라도, 여름철 서해에 형성되는 ‘황해 저층 냉수’도 있다. 더운 여름철인데도 저층에 ‘냉수’가 존재한다는 게 이색적이다. 동계에 ‘황해 난류수’와 ‘중국 연안수’가 혼합된 해수가 봄과 여름철 급속히 가열된 표층수와 격리돼 약 30m 수심 아래에 존재하는데, 수온이 약 10℃로서 매우 차갑다. 이 ‘저층 냉수괴’는 수직 이동하며 서식하는 각종 플랑크톤에 영향을 미쳐 황해의 주요 어종들의 먹이를 보존하는 저장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흥미로운 건, 동해의 난류가 연안 지방의 겨울철 강설(降雪)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예컨대, ‘동한난류’는 한반도 동해 연안역을 따라 북상하면서 끊임없이 ‘더운 수증기’를 내뿜기에 겨울철 차가운 북동풍이 불면 더운 상승기류는 쉽게 냉각되고 태백산맥에 막혀 동편 강릉(37.75°N) 쪽에 많은 눈(연간 강설량 248mm)을 뿌린다. 주목할 만한 건, 비슷한 위도인 인천(37.46°N)은 연간 강설량이 110mm 미만이란 점이다. 강릉의 강설량이 인천보다 2배 이상 많은 건 ‘동한난류’의 존재로 설명할 수 있다. 


같은 예를 동해 쪽 일본 연안의 겨울 폭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동해 연안 쪽 니가타(新潟)와 태평양 쪽 센다이(仙台)는 비슷한 위도(약 38°N)임에도 열 배 가깝게 니가타(新潟)의 강설량이 많다. 동해의 ‘일본 연안류’가 동한난류처럼 겨울철 북서풍과 산악지형과 함께 영향을 미쳐서다. 아쉬운 건, 그 원인에 대해 일본에선 이미 학술적 정리가 되었다는데, 한국에서는 아직 그 구조적 연구가 안 됐다는 점이다. 향후 보다 관련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구하고 싶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8-07 12:20:3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부산환경공단
BNK경남은행 리뉴얼
한국전력공사_4월_변전소나들이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025년도 부산 스마트공장(기초) 구축 …
부산시설공단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