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 방안에 대해 국제관리 위원회의 조건부 동의를 이끌어냈다. 23일 열린 회의에는 부산시, 유엔기념공원 관리처 관계자, 국제관리 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대표들이 참석했다.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후 개발로 인해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으나, 시는 지구 단위계획 수립으로 건축물의 높이, 규모, 용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며 설득했다.
시는 경관지구 해제 후 지형에 따라 두 개 구역으로 나눠 건물 높이를 제한하고, 경건성 훼손 방지를 위해 용도와 외관을 제한하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며, 상세 계획 수립 시 위원회와 지속해서 합의한다는 조건으로 동의를 얻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이 안장된 성지다. 현재 14개국 2333명이 안장돼 있으며, 세계 평화와 인류 희생을 기억하는 공간으로 국제적 상징성과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시는 21년부터 정비와 경관지구 조정 필요성을 전달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24년 말부터 관할 기초지자체와 함께 합의 과정에 참여해 실무 논의를 주도하며 성과를 냈다.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존엄성과 상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 조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도시재생 차원의 주변 지역 관리 방안을 포함해 세계 유산 가치와 시민 삶의 품격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을 추진한다.
남구청은 26년 상반기 용역을 착수하고, 이후 도시관리계획 결정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성과가 26년 세계유산위원회 총회 부산 개최를 앞두고 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주변 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국제관리 위원회는 "한국의 경제적 번영과 지역 발전은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증명하는 산 증거"라며 "계획이 숭고한 뜻을 빛내는 방향으로 추진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은 "세계 평화의 상징이며, 이번 합의는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계기"라며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세계 유산의 가치와 주거 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