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저축은행 피해자 대책위원회가 지난 25일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피해자들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는 상경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40여명은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금융감독원의 사과와 피해액 100% 보상'을 촉구하면서, 국회 앞으로 장소를 옮겨가면서 '저축은행 관련 비리 조사 촉구' 집회를 이어갔다.
참가자들은 '금융 모피아의 낙하산 인사로 저축은행 피해자 다 죽였다', '정관계로비로 얼룩진 저축은행 사태 정부는 책임져라' 등이라고 쓴 피켓을 들고 시위했다.
특히 이들은 저축은행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검찰의 소환 통보를 받고 응하지 않고 있는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에게 "검찰에 출석해 저축은행 비리에 대해 밝히라"며 "자신의 책임을 회피한다"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이어 "저축은행 문제는 여야를 초월해 비리 혐의가 있는 이는 누구든 소환해 잘잘못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24일 이명박 대통령이 친형 이상득 전 의원과 최측근 김희중 전 청와대 제 1부속실장의 저축은행 비리 연루 혐의 등에 대국민 사과를 한 것을 두고 "사과는 필요없다. 잘못을 했으면 해결을 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대선자금과 정치자금 등 정관계 로비로 흘러들어간 저축은행 자금만 회수해도 저축은행 피해자들을 모두 구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옥주 부산저축은행 피해자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부산저축은행 문제는 후순위채권 보유자나 5000만원 이상 예금자로 나뉘는 문제가 아니다"며 "정관계 로비를 통해 능력이 없는 저축은행이 사업을 확장하고 비리를 저지르도록 방치한 감독 기관과 정치권이 저축은행 부도에 따른 피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중간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예금과 달리 후순위채권은 원칙적으로 만기 기간 전에는 상환이 불가능한 것"이라며 "후순위채권을 예금이라고 속이는 등의 불완전 판매로 인한 피해는 분쟁위원회를 통해 일정 정도 배상하는 제도가 마련돼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