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리원전1호기, 재가동 - 10일부터 전력생산, 환경단체 등 반대 '갈등'
  • 기사등록 2012-08-06 00:00:00
기사수정
 
재가동 여부로 팽팽히 맞서던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재가동 되기로 했다. 전력 수급을 위해 가동을 한다는 정부의 재가동 결정에 반해 대다수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야당 등은 재가동을 반대고 있어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6일 오전 11시 정부 과천청사 기자실에서 고리 1호기와 관련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지역주민들과의 협의가 종료됨에 따라 고리 1호기를 6일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홍석우 장관은 "이날 재가동에 착수하는 고리 1호기는 이르면 10일부터 전력 생산이 100%에 달할 것으로 예상해 하계 전력 피크 기간(8월 셋째 주~8월 말) 동안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홍 장관은 "주민들에게 '원전에 문제가 있다면 가동을 중단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문제가 없다면 가능한 한 빨리 재가동에 동의해 달라'고 호소했다"며 "지역주민들이 추천한 민간전문가 7인 역시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데 동의하면서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자경부는 주민들이 추천한 전문가와 한수원이 추천한 전문가들로 원자로 압력용기 '전문가 검토 TF'를 구성해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검토기간을 거쳤다.

그러나 주민들의 고리1호기 안전성 점검이 정부와 밀실합의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지식경제부가 밝힌 지역주민대표는 고리 1호기가 위치한 부산 기장군 장안읍 주민자치위원회"라고 비판했다.

장하나 의원은 "이것은 지식경제부가 고리 1호기 안정성에 불안을 느끼는 국민들을 기만한 것"이라며 "고리 1호기의 직접 피해지역이며, 고리 1호기를 폐쇄해야 한다는 부산시민 71.5%가 배제돼 있다"고 지적했다.

재가동되는 고리 1호기의 안전성 문제도 지적된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성의 문제가 전혀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된 악수 중의 악수"라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미 그 수명인 30년을 5년이나 넘겨 무리하게 가동해 그동안 전체 20%에 해당하는 사고와 고장을 일으켜왔다"며 "또한, 원자력 압력용기 재질이 나쁘고, 열 충격에 파괴되지 않고 견디는 힘이 약해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8-06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