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올해 1분기 가계 신용위험 10년 만에 최악 - 은행, 中企는 물론 대기업까지 `대출 문' 닫는다
  • 기사등록 2013-01-03 00:00:00
기사수정
 
올해 1분기 가계 신용위험 예측치가 근 10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치솟았다.

은행의 대출 문턱 역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10~24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은행 여신 책임자를 면담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34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사태가 발생한 2003년 2~3분기(44포인트) 이후 가장 나빠진 것이다. 금융위기(2008년 4분기~2009년 2분기) 25포인트보다도 더 높다.

2011년까지 3~9포인트 사이를 오르내리던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2분기 22포인트로 훌쩍 뛰더니 3분기 28포인트, 4분기 31포인트로 상승했다.

한은은 "경기 부진 영향으로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능력 저하에 대한 (은행의) 우려가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신용위험 역시 악화했다. 1분기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은 34포인트, 대기업은 13포인트였다. 모두 금융위기(2009년 2분기) 이후 가장 큰 값이다.

신용위험이 상승하며 은행의 대출태도도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더 보수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업의 대출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1분기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태도는 -3포인트로 금융위기(2008년4분기ㆍ-28포인트) 이후 가장 냉랭했다.

대기업 대출태도(-6포인트)마저도 금융위기(2009년2분기ㆍ-9포인트) 이후 가장 소극적이다.

중소기업의 대출수요는 16포인트로 여전히 높다. 대기업(16포인트)도 유동성 확보를 이유로 대출수요가 전분기(6포인트)보다 크게 늘어 은행으로선 `비 올 때 우산 뺏는다'는 비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2012년엔 신용위험이 커져도 은행의 대출태도는 플러스(+)를 유지됐지만 올해는 대기업 대출태도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며 "원화절상, 대외경제 악화 등으로 은행이 경계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1-0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배너_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기술보증기금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