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엔화 약세로 인한 지역 기업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부산상의에 따르면 지역에 대일본 수출 비중이 높거나 일본과 경쟁관계에 있는 제조업 47곳을 대상으로 한 긴급 모니터링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엔화 약세로 조사업체 중 61.7%가 '피해가 발생했다 (51.1%)'고 응답했거나 '향후 피해 예상 (10.6%)' 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업체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가 없다'고 한 기업은 31.9%, '이익 발생' 6.4%로 조사되었다.

피해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원화 거래를 하고 있거나 수입계약 물량의 환차익 발생으로 상쇄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며, 이익이 발생한 기업은 일본산 부품수입이 많아 수입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호전된 때문이다.

업종별로는 조선기자재와 철강 업종에서 가장 피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선기자재와 철강업종은 이미「피해가 발생 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각각 87.5%나 돼 조사업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는 조선기자재업종의 특성상 계약체결 시점과 대금 회수 시점 간의 기간이 길어(평균 1~2년) 환차손의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철강업종 역시 일본의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아 원/엔 환율 하락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반면, 섬유․신발 업종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이들 업종은 대일 수출의존도가 낮은 데다 수입 원자재의 가격 하락으로 환차손 상당수분이 상쇄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엔 환율 하락에 대한 기업의 피해 사례를 유형별로 보면,「기 수출 계약 물량의 환차손 발생」이 전체의 7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가격경쟁력 약화」 13.8%,「채산성 악화」6.9%,「수출계약 취소」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하구에 소재한 A 기업의 경우 2012년 4분기에 일본 거래업체와 계약당시 100엔당 1300원이었는데 현재 1200원 이하로 떨어지면서 2012년 4분기에만 환차손이 5000만원 가량 발생했고, B 업체 역시 원/엔 환율하락으로 매월 수출금액의 10% 정도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전했다.

강서구에 소재한 C업체의 경우는 물품인도시 가격변동폭이 3% 이상 발생하면 계약대금을 변경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환율하락으로 가격 인상을 요구했지만 일본 측 기업이 계약을 파기하는 바람에 피해를 본 사례도 있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1-30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