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수출 중소기업 92.7%, "환율하락 피해" - "원高에 엔화약세 겹쳐 가전·車부품 확산"
  • 기사등록 2013-02-05 00:00:00
기사수정
 
수출 중소기업의 92.7%가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환율 하락에 따른 피해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피해를 본 기업이 지난해 11월 조사때 53.1%였던 것에 비하면 40% 포인트 가깝게 늘어난 규모다.

특히 가전, 자동차부품 기업은 전부가 피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이들 업종은 원화 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데 비해 엔화가치는 급락하면서 가격 경쟁력에서 일본기업에 밀리기 때문에 피해가 심각하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고무·플라스틱, 정보통신기기, 조선·플랜트, 기계·정밀기기 등의 업종도 각 90%가 넘는 피해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환율 하락으로 원가가 떨어지는 석유·화학과 철강·금속 기업의 피해율은 80%대 중반으로 상대적으로 피해가 작았다.

주요 피해유형(복수응답)은 '이미 수출을 계약한 물량에 대한 환차손 발생'이 67.6%로 가장 많았고 '원화 환산 수출액 감소로 인한 채산성 악화 및 운전자금 부족'(27.7%), '수출단가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 약화'(21.6%) 등도 있었다.

원·달러 환율 하락에 대한 대책을 묻는 말에 30%는 '대책이 없다'고 했다.

환율하락폭을 수출가격에 반영할 여지가 있는지 물음에 47.3%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엔저 현상으로 피해를 본 기업도 41.4%에 달했다.

손영기 대한상의 환율피해대책반 팀장은 "원화 강세가 당분간 이어지고 환율 변동폭도 작년보다 커질 것"이라면서 "환리스크 관리에 적극 나서는 한편 중소수출기업 정책금융 지원제도 등을 잘 활용하고 제품 차별화 등으로 비가격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2-05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