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최근 많은 이들이 이른바 ‘몸짱열풍’에 관심을 쏟고 있는데 너무 무리하게 운동강도를 높이거나 지나치게 집착할 경우 오히려 몸을 상하거나 심할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실제로 매년 중년남성 10만명중 6명이 극심한 운동 중에 사망한다고 하는데, 몸의 이상신호인 통증을 느끼면서도 일부 운동마니아들은 진통제를 맞아가며 운동을 강행하는 경우도 있다. 왜 그럴까?

1979년 미국심리학자 A.J 맨델은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라는 용어를 발표했는데 일반적으로 쾌적한 환경에서 심장박동수는 1분당 120회 이상인데 이 강도로 30분 이상 운동하면 묘한 행복감이 발생한다고 했다.

이처럼 운동으로 인한 정신적인 행복감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운동을 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고 불안초조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이를 ’운동중독‘ 또는 ‘운동의존’이라 한다. 운동중독상태에 이르면 운동중에 부상을 입었더라도 중단하지 못하고 다친상태로 운동을 강행하고 만성장애로까지 발전되게 된다.

운동중독증은 사회 경제적 수준이 높고, 평소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 쉽게 빠질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에게 운동중독이 일어나도 주변사람들은 긍정적인 생활습관으로 가볍게 넘길 수 있으나, 운동중독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자각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는 운동 중 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질환이 나타났는데도 무리하게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운동 중독증이 있는 사람은 골절, 관절과 인대 부상 같은 위험도 그만큼 높아지므로 처음 운동을 시작할 때 자신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운동 처방을 받아 운동 횟수와 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 운동중독은 또 다른 병을 부른다
운동중득증이 일으키는 합병증 중에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관절질환이다. 발목을 예로 살펴보면 운동중에 발목염좌가 일어났는데도 이것을 치료하지 않고 계속 운동을 했을 때 ‘발목외측인대 불안정증’이나 ‘연부조직 충돌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는 작은 충격에도 발목이 쉽게 접질리거나 만성적으로 통증이 오는 공통된 증상이 있다. 이 상태를 계속해서 방치하면 관절이 파괴되고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무릎도 무릎연골에 문제가 생겼는데도 계속해서 운동을 할 경우 연골이 빨리 닳아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무릎 인대 손상후에도 계속 운동을 하면 무릎이 쉽게 꺽이고 정강이 뼈가 틀어질 수 있다. 또한 운동중독증은 충분한 휴식시간을 갖지 않고 바로 운동할 경우 관절뿐 아니라 근육조직을 파열시킬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 외에도 운동중독으로 인해 발바닥에 오는 족저근막염이나 다리뼈인 경골이나 발에 있는 중족골의 피로골절이 생길 수 있다. 족저근막염은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첫 발을 내디딜 때 발바닥이 아파서 발을 디디기가 어렵고 한참을 움직여야 나중에 걸을 수 있게 된다. 이 질환은 딱딱한 바닥을 쿠션이 적은 운동화를 신고 오래 뛰거나 걸었을 때 잘 생긴다.

또 피로골절은 아주 장시간 달리거나 운동을 지속했을 때 경골, 비골 또는 발의 중족골에 금이 가게 되는 것인데, 이 질환들은 모두 운동을 쉬는 게 좋다. 족저근막염은 종아리 근육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열심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피로골절은 기브스로 고정을 하고 적절한 물리치료 또는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

아무래도 운동중독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돌연사를 일으키는 심장질환이다.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운동을 할때 심장에는 과부하가 걸린다. 또한 극심한 운동을 한 후에 갑자기 멈추면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심장에 치명적 부담을 줄 수도 있다. 만약 운동시 가슴이 답답하고 조여드는 흉통을 느낄 때,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메슥거림, 식은땀, 어지럼증을 느낄 때, 가슴에 느껴지는 증상이 등과 어깨, 목, 턱, 팔로 뻗어 나갈때면 즉시 운동을 중지하는게 필요하다.

# 내게 맞는 운동을 찾자
운동중독증이 두렵다고 운동을 아예 안할 수는 없다. 적당한 운동은 우리 몸에 유익한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기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폐활량을 늘리고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준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신체능력 범위에서 즐거운 마음을 갖고 운동하는 것이 최선이며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자신이 운동중독증이라는 것을 인정한 뒤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운동중독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 할 것으로는, 첫째, 자신의 운동목적을 파악해야 한다. 비만으로 건강에 위험신호가 와서 체중감량이 시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주3~5회, 1회에 1시간 이내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특히 격렬한 운동을 한 다음날에는 운동을 휘거나 운동강도를 줄여 우리몸이 피로에서 회복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마련해 준다.

둘째, 여러종류의 운동을 섞어서 하는 것이다. 달리기만 하는 사람이라면 근력강화운동이나 수영과 같은 다른 종목으로 바꿔 운동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무리한 웨이트 트레이닝에 매달리는 것도 좋지 않다.

셋째, 몸에 무리가 왔다는 신호가 왔을때 무시하지 않는 것이다. 운동중독에 빠지면 인대가 늘어나고 뼈에 무리가 가도 운동을 계속해야 직성이 풀린다. 결국 근육파열이나 관절질환, 골절로 일어설 수 없을 정도의 상태가 되어서야 운동을 포기하는 일이 종종 있다. 운동 후 몸에 통증이 있을 때는 반드시 운동량을 줄이고 심할때는 몸 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운동을 쉬어야 한다.

운동은 좋은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중독이 문제라고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운동은 매우 좋은 습관이지만, 몸이 힘들어 병이 났는데도 운동을 하지 않으면 불안한 마음이 든다면 운동 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건강한 운동은 매일 운동을 반복하는 것보다 이틀에 한번씩, 주 3~4회 정도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운동을 쉬는 휴일을 정하면 운동중독에 걸릴 확률 또한 그만클 줄일 수 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2-1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