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약식은 경남도와 밀양시가 전자·통신분야의 연구개발 수준이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경남 나노융합산업의 발전을 한층 더 앞당겨 줄 것으로 평가된다.
홍준표 도지사는 MOU 체결식에서 “나노융합 국가산단은 나노금형 상용화 지원센터와 함께 나노관련 기업의 집적화를 통해 전형적인 농업도시인 밀양을 최첨단 나노융합 중심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할 것이다”라며 “이번 협약체결이 경남을 나노융합산업의 메카로 만드는 초석이 되고 나아가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나노미터(1~100nm)크기에서 물질의 제조.조작을 통해 새롭거나 개선된 성질을 이용하는 나노기술은 소자, 소재, 에너지, 바이오 분야에 적용되어 나노융합산업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특히 전자.통신분야인 소자 개발에서 세계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기술을 가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경남도가 손을 잡게 되어 경남도가 추진하는 나노융합산업 육성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 된다.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관련 융·복합기술분야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76년 한국전자기술연구소를 시작으로 설립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본원과 6개 연구소, 3연구본부, 3개 지역연구센터, 2개 해외센터(북경,미주)를 두고 있으며 전자통신분야 석박사급 연구원 등 직원 2,5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식재산 전문 잡지인 『IP Today』가 발표한 미국 등록 특허 기준 2013년도 특허종합평가(Innovation Anchor Scorecard)'에서 세계 유수의 연구소, 대학, 정부기관 등을 제치고 전 세계1위를 차지하여 3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주요기술개발 성과는 1986년에 개발한 전전자교환기를 통해 1가구 전화 및 전국 전화 자동화를 실현했으며, 1988년에는 4M, 16M, 64M, 256M 용량의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해 한국이 세계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일조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