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준 기자의 기사
-
민선8기 울산광역시장직 인수위원회 출범 [부산경제신문/김문준 기자]김두겸 울산광역시장 당선인의 민선 8기 정책기조와 방향을 설정할 울산광역시장직 인수위원회가 6월 13일 공식 출범한다. 민선8기 울산광역시장직 인수위원회의 사무소는 남구 신정동 상수도사업본부에 설치하고, 13일 오전 10시 30분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1층 로비에서 출범식을 개최한다. 출범식은 국민... 2022-06-13 김문준
-
울산 노후 산업단지 내 환경조성사업 본격화 [부산경제신문/울산 김문준 기자]노후된 울산·미포국가산단 내 활력있고 ‘아름다운거리’가 조성되고 온산국가산단 내 ‘복합문화센터’가 들어선다.울산시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주관하는 ‘2022년 산업단지 환경조성 통합 공모사업’ 중 ‘활력있고 아름다운거리조성 사업’ 과 ‘산업단지 복합문화센... 2022-06-10 김문준
-
<칼럼>다사다난(多事多難) 다사다난했던 2021年 한 해를 돌아보게 되는 글 중에 다사다난(多事多難)이란 표현을 많이 使用한다. 일도 많고 어려움도 많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가 매년 등장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그렇게 쉽지 않아서 일 것이다. 매년 다사다난한 해였지만 올해처럼 다사다난한 해는 흔치 않았던 것 같다.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신종바이러스 코로나 19... 2022-01-04 김문준
-
<김문준 전무 칼럼>인플레이션 시대 개막? 가장 권위 있는 경제 주간지인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헤드라인을 보면 최근 세계 경제의 주요 이슈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이번 달 헤드라인은 ‘부족의 경제(shortage economy)’와 ‘에너지 쇼크’가 장식했다. 물건이 동난 가게 진열대를 보여주는 커버 페이지는 선진국 경제 전반에 걸친 급격한 수요 증가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2021-10-30 김문준
-
앞서가는 대한노인회 울산 북구지회 [부산경제신문/김문준 기자]급변하는 세계화 시대의 흐름 속에 우리사회도 어느덧 초 고령 사회에 접어들었다.국가나 지역사회 그리고 개인 모두가 이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과 해결 방안을 찾고 있다.그러나 국가나 지자체가 모든 일을 다 해줄 수는 없는 일이므로 각 지역의 노인회나 노인복지회관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지역 ... 2021-10-30 김문준
-
"울산 환경복지 살아나고 있다" [부산경제신문/김문준 전무]미래를 준비하는 의회, 시민에게 힘이 되는 의회, 시민과 함께하는 의회를 목표로 활동해온 울산 광역시의회 제7대의회가 개원3주년이 되어간다. 손종학 부의장은 지난3년이 시민에게 다가가는 의회를 만들기 위해 소통, 대화, 협력에 방점을 찍고 기본기를 다진 해였다면, 앞으로의 시간은 시민들이 실제로 체감... 2021-03-11 김문준
-
한심한 국회와 2020 총선 2020년 새해에는 국회가 바로 설 수 있을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대한민국정치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가하면 오히려 더 후퇴하는 느낌이다.전진하지 않으면 퇴보한다는 부진즉퇴(不進則退)가 2019년 한국정치에 딱 어울리는 말이다.지난해는 정쟁으로 시작해 정쟁으로 끝난 그야말로 무정치의 한 해였다.일 안하는 식물국회와 선진화법... 2020-02-04 김문준
-
<칼럼>경제 꼬인 실타래 새로운 일본왕 즉위식을 보면서 묘한 감정이 느껴진다. 중국식의 웅장하고 장엄함이 아니라 깊은 엄숙함을 보여주는 듯하였으나, 일본 국민들에게 실례를 무릅쓰고 말하자면 약간의 재미를 느끼게 하였다. 옛 풍습을 재현한 듯 각종 의례와 복장, 행동들이 마치 인형극을 보는 듯했다. 일본 왕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왕가다. 일본의 관... 2019-11-18 김문준
-
반(反)일본과 우리경제 일본 아베 정권의 무역보복으로 시작된 일본과의 갈등이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우리나라에서 반 일본 열기가 무섭게 달아올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대화와 협상의 길을 언급하면서 경색된 양국 관계에 변화 조짐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낙연 총리가 22일 나루히토 일왕 즉위식에 정부대표 자격으로 2... 2019-10-22 김문준
-
인플레이션과 우리 경제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소비자들의 고통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엄청난 기록을 세우고 있다. 농, 수, 축산물, 석유류 물가, 집세 등 모두 크게 오른 탓이다. 최근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가 많이 오르면서 서민들의 생활이 많이 어려워지고 있다. 더욱이 이런 물가 오름세가 일시적 현... 2019-09-17 김문준
이전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