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신생아 결핵 예방에 부산시 나서
부산시, 산부인과 직원 결핵 발생에 따른 예방적 항결핵제 신생아들에게 투여 등 결핵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
오창민 기자 기자 2014-07-31 00:00:00
부산시 보건당국은 지난 7월 15일 오후 모 산부인과에 근무하는 직원이 정기건강검진 중 결핵이라는 보고를 받고 다음 날인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질병관리본부와 합동으로 조사팀을 구성해 현장 조사를 실시한 후 질병관리본부 및 관련 전문가 자문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7월 23일~26일까지 부산백병원, 좋은삼선병원, 광혜병원에서 최초 조사대상자 251명 중 223명을 검사한 결과 영아 1명이 결핵의심소견이 나와 조사대상자를 319명으로 확대하고 부산대학교병원을 검진기관으로 추가했다.
한편 이 환아는 7월 30일 결핵으로 확진 받았다. 결핵으로 확진 판명시 6개월 간 항결핵제를 복용하면 완치가 가능하며 별도의 입원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7월 31일 현재 조사대상자 총 319명 중 286명이 흉부X선 검사 등을 받았으며, 추가로 2명이 결핵으로 의심되어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이번 역학조사에서 시행된 검사 및 항결핵제 투여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역학조사시점에서 4주 미만 신생아들은 흉부 X-선 검사 후 항결핵제를 12주 동안 복용하게 되며, 12주 후 시행하는 피부반응 검사결과에 따라 항결핵제의 지속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4주 이상 영아들은 흉부 X-선 검사와 피부반응검사 결과에 따라 항결핵제 투여 기간이 결정된다. 예방적으로 투여되는 항결핵제는 신생아 및 영아에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7월 29일부터 시행된 ‘결핵예방법’에는 기존에 실시되지 않았던 ‘잠복결핵감염검진’도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앞으로병원종사자에 대한 결핵관리가 더욱 강화됐다.

7월 23일~26일까지 부산백병원, 좋은삼선병원, 광혜병원에서 최초 조사대상자 251명 중 223명을 검사한 결과 영아 1명이 결핵의심소견이 나와 조사대상자를 319명으로 확대하고 부산대학교병원을 검진기관으로 추가했다.
한편 이 환아는 7월 30일 결핵으로 확진 받았다. 결핵으로 확진 판명시 6개월 간 항결핵제를 복용하면 완치가 가능하며 별도의 입원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7월 31일 현재 조사대상자 총 319명 중 286명이 흉부X선 검사 등을 받았으며, 추가로 2명이 결핵으로 의심되어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이번 역학조사에서 시행된 검사 및 항결핵제 투여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역학조사시점에서 4주 미만 신생아들은 흉부 X-선 검사 후 항결핵제를 12주 동안 복용하게 되며, 12주 후 시행하는 피부반응 검사결과에 따라 항결핵제의 지속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4주 이상 영아들은 흉부 X-선 검사와 피부반응검사 결과에 따라 항결핵제 투여 기간이 결정된다. 예방적으로 투여되는 항결핵제는 신생아 및 영아에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7월 29일부터 시행된 ‘결핵예방법’에는 기존에 실시되지 않았던 ‘잠복결핵감염검진’도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앞으로병원종사자에 대한 결핵관리가 더욱 강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