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대강 보 위치 및 녹조 발생 우려 지역.(제공=국토교통부) |
정부가 녹조발생 등 수질악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4대강 16개 대형보 중 수자원 이용에 영향이 없는 6개보를 6월 1일 오후 2시부터 상시 개방한다.
상시 개방을 실시하는 보는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등 4개와 금강의 공주보, 영산강의 죽산보다.
4대강 보는 녹조발생 등 수질악화의 주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이달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녹조발생이 심하고 체류시간이 길며 수자원 이용에 영향이 없는 보에 한해서 하절기 이전에 즉시 개방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 22일 국무조정실에 농식품부, 환경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통합물관리 상황반을 설치했다. 6개 개방대상 보에 대한 현장조사와 더불어 인근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농업용수 공급, 수변시설 이용 등에 문제가 없도록 6개보의 개방 수준을 정했다.
특히 보 개방 상황을 관계기관 합동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해 개방 효과를 조사한다. 모니터링 과정에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도 참여토록 할 계획이다.
보의 상시개방 수위는 모내기철임을 고려해 농업용수 이용에는 지장이 없는 수위(1단계)까지 개방할 계획이다. 6월 1일 이전까지 추가 현장 확인과 의견수렴 등을 거쳐 개방일 이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보 개방은 수생태계와 농업용수 사용을 고려해 점진적(2~3cm/hr 수준)으로 수위를 낮출 계획이다. 농업용수 사용이 끝나는 시기 이후에는 2단계로 그간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분석해 6개보의 수위를 지하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 등으로 더 낮추는 방안도 추가 검토하고 있다.
모니터링은 이달 29일 시작해 보 상시개방(6.1) 전‧후 상황을 비교할 수 있도록 실시한다. 상시개방 이후 한달 간은 모니터링을 강화(일일 모니터링)해 비상 상황시 보다 신속한 대비가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개방 대상에서 제외된 나머지 10개 보에 대해서는 생태계 상황, 수자원 확보, 보 안전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양수장 시설 개선 등을 거쳐 개방 수준과 방법을 단계별로 확정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