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3%시대...시중 금리도 '동반↑'
시중은행 예금·대출 금리 줄 인상
배희근 기자 기자 2011-03-11 00:00:00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년3개월 만에 기준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이에 기준금리가 다시 3%대에 진입하면서 예금과 대출 금리 인상에 시중은행들이 앞 다투고 있다.
아울러 이번 기준 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들은 주가 조정기에 증시에서 빠져나온 자금을 붙잡기 위해 특판예금이나 고금리 신상품을 내놓고 있다.
먼저 국민은행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추가로 0.2%포인트 더 올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 국민은행은 지난 7일 1년 만기 '수퍼정기예금' 금리를 연 4.1%에서 연 4.15%로 0.05%포인트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또 양도성예금증서(CD)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번 주 연 4.94~6.24%에서 다음주에는 연 5.1~6.4%로 0.16%포인트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도 11일 우리은행 정기예금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주요 은행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 수준이었던 우리은행의 1년 만기 '키위정기예금'의 금리를 1년 기본 3.95%(최대4.05%) 에서 기본 4.10%(최대4.20%)로 0.15%인상키로 했다.
또 2년, 3년 만기의 경우 기본 4.05%(최대4.15%)에서 기본 4.20%(최대4.30%)로 0.15% 인상한다. 이밖에 최고 연 4.45%의 금리를 제공하는 '시네마정기예금 3호'도 출시했다.
우리은행에서는 오는 31일까지 1000억원 한도로 판매하고 있는 시네마정기예금 3호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는 기본금리 4.15%에 영화관객 50만명을 돌파하면 우대금리 0.1%를 포함해 4.25%의 금리를 제공한다.
또 관객이 100만명을 돌파할 경우에는 우대금리 0.3%를 포함해 4.45%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은 연 4.7~6.02%였던 CD 연동 대출 금리를 연 4.73~6.05%로 0.03%포인트 인상키로 했다.
신한은행은 3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해 사전에 예금 금리를 조정할 것으로 보이며,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향후 시장 금리 추이를 보고 판단할 것으로 점쳐진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도 다음 주 초 금리 인상폭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인 코픽스(COFIX · 자금조달비용지수)는 오는 15일 발표된다. 최근 예금 금리를 비롯한 시중금리가 모두 오름세로 변하고 있어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 모두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이 있다는 업계의 조언이다.
아울러 이번 기준 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들은 주가 조정기에 증시에서 빠져나온 자금을 붙잡기 위해 특판예금이나 고금리 신상품을 내놓고 있다.
먼저 국민은행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추가로 0.2%포인트 더 올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 국민은행은 지난 7일 1년 만기 '수퍼정기예금' 금리를 연 4.1%에서 연 4.15%로 0.05%포인트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또 양도성예금증서(CD)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번 주 연 4.94~6.24%에서 다음주에는 연 5.1~6.4%로 0.16%포인트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도 11일 우리은행 정기예금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주요 은행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 수준이었던 우리은행의 1년 만기 '키위정기예금'의 금리를 1년 기본 3.95%(최대4.05%) 에서 기본 4.10%(최대4.20%)로 0.15%인상키로 했다.
또 2년, 3년 만기의 경우 기본 4.05%(최대4.15%)에서 기본 4.20%(최대4.30%)로 0.15% 인상한다. 이밖에 최고 연 4.45%의 금리를 제공하는 '시네마정기예금 3호'도 출시했다.
우리은행에서는 오는 31일까지 1000억원 한도로 판매하고 있는 시네마정기예금 3호 '마이 블랙 미니드레스'는 기본금리 4.15%에 영화관객 50만명을 돌파하면 우대금리 0.1%를 포함해 4.25%의 금리를 제공한다.
또 관객이 100만명을 돌파할 경우에는 우대금리 0.3%를 포함해 4.45%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은 연 4.7~6.02%였던 CD 연동 대출 금리를 연 4.73~6.05%로 0.03%포인트 인상키로 했다.
신한은행은 3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해 사전에 예금 금리를 조정할 것으로 보이며,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향후 시장 금리 추이를 보고 판단할 것으로 점쳐진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도 다음 주 초 금리 인상폭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인 코픽스(COFIX · 자금조달비용지수)는 오는 15일 발표된다. 최근 예금 금리를 비롯한 시중금리가 모두 오름세로 변하고 있어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 모두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이 있다는 업계의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