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2010년 주류 출고동향... '공개'
주류소비량 정체속에 막걸리 소비 지속 증가세
배희근 기자 기자 2011-07-18 00:00:00
막걸리 출고량 추이 (*수출 등 면세분 제외 *1㎘
국세청이 주류 제조업체들의 주세 신고서를 바탕으로 지난해 주류 출고동향을 공개했다.
국세청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소주.맥주 출고량은 예년에 비해 큰 차이가 없으나, 막걸리의 출고량은 2009년에 이어 대폭 증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막걸리 출고량 2년 연속 높은 성장세 기록
2010년 막걸리 출고량(412천㎘)은 2009년(260천㎘)보다 58.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막걸리는2009년도 47.8%의 증가율에 이어 2년 연속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전체 주류 출고량의 12.0%를 차지함으로써 지난 1995년부터 10% 이하로 떨어진 이후 16년 만에 10%대 점유율을 다시 회복했다. 막걸리 수출량은 19,407㎘로 2009년 6,978㎘보다 178.1% 늘어났으며,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년대비 201.4%로 대폭 증가해 전체 수출량의 81%를 차지했고, 미국(8.7%), 중국(4.3%)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수출량 증대에 힘입어 막걸리 수출액이 2006년 이후 5년만에 일본 청주(사케) 수입액을 초과하는 저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자료 출처: 한국무
주요 주류 출고량
소주의 경우 알코올 도수 19도 이하 저도주 출고량은 34,413㎘이며, 2009년 17,150㎘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아 저도주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위스키.과실주.청주 국
위스키, 과실주, 청주의 국내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감소했으나, 수입량이 이를 상쇄해 오히려 전체 출고량은 전년에 비해 다소 늘어났다.
위스키.과실주.청주
▲ 주요 주류
■ 전체 주류 출고량 전년대비 3.0% 증가
2010년 전체 주류 출고량은 3,434천㎘로 2009년(3,333천㎘)보다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민 대중주인 소주는 2009년 대비 약 0.07% 증가하는 데 그쳤고, 맥주는 오히려 약 2.3% 감소했다.
이처럼 전체 주류 출고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소주.맥주 출고량이 전년과 비슷하거나 감소한 것은 막걸리가 소주.맥주 소비를 일부 대체한 것으로 판단된다.
■ 주요주류 수출.수입 전년대비 16.7%, 8.5% 증가
2010년 주요 주류의 수출은 전년대비 약 16.7% 증가했다. 소주의 수출량은 약 81,543㎘이며 이는 전년대비 약 2.9% 증가한 것으로, 국가별로 볼 때 일본이 전체 수출량의 약 81%를 차지했고 미국(8.7%), 중국(4.3%)순으로 나타났다.
맥주의 수출량은 약 65,944㎘로 전년대비 약 15.9%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 수출국은 홍콩(47.3%), 몽골(16.3%) 등이 있다. 막걸리 수출량은 19,407㎘로 전년대비 178.1% 증가했다.
주요 주류 수입량
2010년 주류의 수입량은 약 112천㎘로 2009년 수입량 103천㎘에 비해 약 8.5% 증가했고, 주류 수입량 중 맥주가 41.8%, 과실주가 22.6%, 위스키가 20.3%를 점유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년대비 맥주 14.5%, 위스키 6.3%, 와인 등 과실주는 8.8%, 일본 청주는 32.4% 각각 증가하는 등 수입량이 다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국민 1인당 술 소비량은 19세 이상 성인 기준 소주 66.6병(360㎖기준), 맥주 100.8병(500㎖기준), 막걸리 14.2병(750㎖기준)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세 납부액 중 막걸리는 전체 출고량의 12.0%를 차지하나 세율(5%)이 낮아 전체 주세 신고액의 약 0.7%(194억 원)를 점유하는 수치이다.
국내 주류시장의 규모는 약 7조 8,907억 원으로 파악되며, 그 중 맥주.소주가 약 7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세청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소주.맥주 출고량은 예년에 비해 큰 차이가 없으나, 막걸리의 출고량은 2009년에 이어 대폭 증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막걸리 출고량 2년 연속 높은 성장세 기록
2010년 막걸리 출고량(412천㎘)은 2009년(260천㎘)보다 58.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막걸리는2009년도 47.8%의 증가율에 이어 2년 연속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전체 주류 출고량의 12.0%를 차지함으로써 지난 1995년부터 10% 이하로 떨어진 이후 16년 만에 10%대 점유율을 다시 회복했다. 막걸리 수출량은 19,407㎘로 2009년 6,978㎘보다 178.1% 늘어났으며,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년대비 201.4%로 대폭 증가해 전체 수출량의 81%를 차지했고, 미국(8.7%), 중국(4.3%)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수출량 증대에 힘입어 막걸리 수출액이 2006년 이후 5년만에 일본 청주(사케) 수입액을 초과하는 저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2010년 전체 주류 출고량은 3,434천㎘로 2009년(3,333천㎘)보다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민 대중주인 소주는 2009년 대비 약 0.07% 증가하는 데 그쳤고, 맥주는 오히려 약 2.3% 감소했다.
이처럼 전체 주류 출고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소주.맥주 출고량이 전년과 비슷하거나 감소한 것은 막걸리가 소주.맥주 소비를 일부 대체한 것으로 판단된다.
■ 주요주류 수출.수입 전년대비 16.7%, 8.5% 증가
2010년 주요 주류의 수출은 전년대비 약 16.7% 증가했다. 소주의 수출량은 약 81,543㎘이며 이는 전년대비 약 2.9% 증가한 것으로, 국가별로 볼 때 일본이 전체 수출량의 약 81%를 차지했고 미국(8.7%), 중국(4.3%)순으로 나타났다.
맥주의 수출량은 약 65,944㎘로 전년대비 약 15.9%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 수출국은 홍콩(47.3%), 몽골(16.3%) 등이 있다. 막걸리 수출량은 19,407㎘로 전년대비 178.1%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전년대비 맥주 14.5%, 위스키 6.3%, 와인 등 과실주는 8.8%, 일본 청주는 32.4% 각각 증가하는 등 수입량이 다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국민 1인당 술 소비량은 19세 이상 성인 기준 소주 66.6병(360㎖기준), 맥주 100.8병(500㎖기준), 막걸리 14.2병(750㎖기준)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세 납부액 중 막걸리는 전체 출고량의 12.0%를 차지하나 세율(5%)이 낮아 전체 주세 신고액의 약 0.7%(194억 원)를 점유하는 수치이다.
국내 주류시장의 규모는 약 7조 8,907억 원으로 파악되며, 그 중 맥주.소주가 약 7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