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등 10여개 기관투자자 무더기 손배소 난관 임민희 기자 기자 2017-04-18 18:01:39
![]() |
대우조선해양이 총 5차례에 걸친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 재조정안이 가결됨에 따라 경영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했다. 대우조선은 다음달 초부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신규자금 2조 9000억원을 추가로 지원받게 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17~18일 대우조선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1~5차 사채권자 집회에서 정부의 채무 재조정안이 차수마다 참석 채권액의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 가결됐다.
정부의 채무 재조정안은 이달 21일부터 2019년 4월까지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총 1조 3500억 원에 대해 50%는 주식으로 출자전환하고 나머지 절반은 만기를 3년 연장해주는 내용이다.
사채권자들의 채무 재조정안 가결은 국민연금공단의 역할이 컸다.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사채권자집회를 하루 앞둔 지난 16일 채무조정안에 찬성하는 서면결의서를 제출했고, 다른 기관투자자들도 찬성표를 던지면서 무난희 통과됐다.
대우조선 회사채(전체 1조 3500억원)를 보유한 기관투자자는 총 32곳으로, 국민연금은 이중 29% 가량인 3900억원을 보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우정사업본부 1600억원, 사학연금 1000억원, 신협 900억원, KB자산운용·수협중앙회 600억원, 교보생명·하이투자증권·중소기업중앙회 400억원, 하나금융투자 300억원, 현대해상·한화투자증권·한국금융증권 200억원 순이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 재조정안이 가결된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어려운 결단에 감사드린다”며 “빠른 정상화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금년 내 선주에게 인도해야 할 선박, 해양공사에 대해 차질없이 건조하고, 원가경쟁력을 높여 신규 수주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며 “자구계획을 철저히 준수해 올해는 흑자로 전환해 최근 3년간 이어져온 실적 악화 기조에서 반드시 벗어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대우조선은 사채권자 집회가 마무리됨에 따라 내년 4월 만기되는 2000억원에 대한 기업어음(CP) 보유 채권자 동의를 받는 절차에 돌입했다. CP 채권자들의 동의를 받으려면 회사채와 달리 개별적으로 만나 변경약정서를 체결해야 가능하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무 재조정에 대한 법원 인가를 받아 5월 초부터 2조 90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국민연금공단 등 10여개 기관투자자들은 지난 14일 서울중앙지법에 대우조선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청구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대우조선 회사채 규모는 3887억원으로, 대우조선 회사채의 만기가 아직 도래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추후 실질적 손해가 산정되면 소송 규모는 수천억원대에 육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