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신문/김정수 기자]
경남도는 그 동안 추진해 온 항공 산단, 나노융합 산단 2곳이 국가산업단지로 확정되고 거제 해양플랜트 산단은 법인 설립 후 국가산단으로 개발된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 1974년 ‘거제 죽도 국가산업단지’와 ‘창원 국가산업단지’가 지정된 지 40여년 만에 경남에 국가산업단지가 추진되는 것이다.
이번 발표는 같은 날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조정실장, 국토부·산업부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국토정책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지난 3월 12일 제5차 무역투자회의 때 보고한 ‘국가지원 지역 특화산단 입지지원 방안’을 확정한 내용이다.
국가지원 지역 특화산단 입지지원 방안 에는 진주.사천 항공산단과 밀양 나노융합산단을 각각 165만㎡ 규모로 LH가 사업시행자로 참여하여 우선적으로 국가산단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거제 양플랜트 산단은 2015년 상반기에 특수목적법인 설립 후 국가산단으로 개발하게 된다.
한편 이번 개발은 항공·나노융합·해양플랜트 국가산단이 계획대로 조성되면 26조 9,234억원의 경제 유발효과와 9만 7천여명의 고용 유발효과가 기대되며 경남 미래 50년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 국가산단과 나노융합 국가산단은 ‘산업단지 인허가 특례법’을 적용해 지정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여 2016년에 사업을 착수하고, 추가 수요에 따라 산단 규모를 단계별로 확대 지정 조성하기로 LH와 협약을 체결할 예정으로 경남도가 당초에 계획했던 규모로 산단이 조성될 계획이다.
아울러 경남도는 국가산단 입주 예정인 KAI, 한국카본을 비롯한 30개 기업과 상호협력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하여 기업의 공장 건립과 기업 활동을 위한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그 동안 산업부로부터 사천임대산단과 종포일반산단이 항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받아 국비 400억 원이 투입되어 2018년까지 물류센터 확충사업 등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나노융합 국가산단에는 한전이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 한전 자재센터 건립 등 정부 차원의 국가산단 지원 정책을 이끌어냈다.
경남도 관계자는“도가 추진해온 항공, 나노융합, 해양플랜트산업단지가 모두 국가산업단지로 개발되게 된 것은 경남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되는 것은 물론 경남 미래 50년 핵심산업 추진의 초석을 마련한 것”이라며 “성공적인 국가산단 조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결집하고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여 경남의 창조산업을 통해 국가경제를 선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